Pages

Friday, July 3, 2020

20년 전 6·15정상회담 주역 '전면에'…북한, 어떻게 대응할까 - 연합뉴스

lahngapaya.blogspot.com

여당 원내대표 출신 통일부 장관에 남북협력에도 힘 실려

'관망모드' 북한, 쉽게 대화 나서지 않을 가능성 커

(서울=연합뉴스) 최선영 기자 = 대북전단 살포와 그에 대한 북한의 반발로 남북관계가 최악인 상황에서 단행된 문재인 정부의 통일외교안보 라인 인사에 북한이 어떤 평가를 하고 대응조치를 내놓을지 관심이 쏠린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차기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로 내정한 박지원 전 민생당 의원은 남북 분단 이후 처음으로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을 물밑에서 성사시킨 주역이다.

박 국정원장 내정자는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0년 3월 문화관광부 장관 신분으로 깜짝 특사로 발탁돼 북측의 송호경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 등과 수차례 비밀 접촉을 갖고 남북정상회담을 논의했으며 같은 해 4월 8일 최종 합의문서를 체결했다.

첫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킨 주인공으로 정상회담에도 참석해 김정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도 인연이 깊다.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는 부친의 큰 업적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6·15남북정상회담의 '공로자'일 뿐 아니라 최고지도자를 만난 '접견자'이기도 하다.

정상회담 당시 백화원 영빈관에서 열린 환송 오찬 때 박 전 의원의 제의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등 참석자 모두가 손에 손을 잡고 '우리의 소원'을 합창하기도 했다.

또 이후 남북관계의 파고 속에서도 나름 북한의 입장을 이해하며 좌고우면하지 않고 남북간 대화와 협력을 시종일관 강조해온 인물이라는 점에서 북한이 그의 무게감을 마냥 무시하기 어려워 보인다.

6·15남북정상회담 당시 환송 오찬 모습
6·15남북정상회담 당시 환송 오찬 모습

(서울=연합뉴스) 김대중대통령과 김정일국방위원장및 양측대표단이 2000년 6월 15일 오후 백화원 영빈관 1호각에서 열린 대표단 환송오찬에서 박지원장관의 제의로 손에 손을 잡고 '우리의소원'을 합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DB >> 2009.8.18

국가안보실장으로 임명된 서훈 국정원장은 박 전 의원과 함께 손잡고 6·15남북정상회담을 물밑에서 성공시킨 또 다른 주역이다.

서 국정원장은 박 전 의원과 송 부위원장의 베이징 비밀 접촉 때 남측 단원으로 참석해 실무 전반을 담당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정원장에 취임한 그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의 정세 변화를 물밑에서 이끌며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과 싱가포르 첫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기여했다.

북한이 무시할 수 없는 20년 전 박 국정원장 후보자와 서훈 국정원장의 케미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라는 커다란 악재 속에서 돌파구를 열고 협력의 남북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특히 북한 역시 남북관계 역사에서 이들 두사람의 역할을 모르지 않을 것인 만큼 앞으로 보일 반응에 관심이 쏠린다.

2018년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직후 북한이 공개한 기록영화 '역사적인 제5차 북남수뇌상봉 진행-경애하는 최고영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문재인 대통령과 평양에서 상봉 [주체107 2018.9.18-20]'에는 김정은 위원장과 박 전 의원이 서훈 국정원장을 옆에 두고 대화하는 모습이 담기기도 했다.

2018년 9월 평양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과 박지원, 그 옆엔 서훈
2018년 9월 평양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과 박지원, 그 옆엔 서훈

북한 조선중앙TV는 2018년 9월 22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9월 18∼20일 평양 남북정상회담 전 과정을 상세히 다룬 기록영화를 방영했다. 사진은 정상회담 첫날 목란관 환영만찬장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박지원 당시 민주평화당 의원이 서훈 국정원장을 옆에 두고 대화하는 모습이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 내정자 역시 1980년대 학생 운동권 출신을 뜻하는 86그룹의 상징이자 선두 주자이며 4선의 국회의원으로 집권당 원내 대표를 지낸 거물이다. 북한문제와 대북 정책에도 남다른 관심을 기울여왔다.

앞으로 남북관계 업무를 전담하는 통일부에 힘이 실릴 수 있음을 예상케 하는 대목이다.

이번 인사를 통한 대북메시지는 대화와 협력에 무게가 실렸다는 평가가 나오는데, 관건은 북한의 반응이다.

북한이 지난달 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를 통해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한 이후 대남 비난을 자제한 채 정세를 관망하면서 침묵모드를 이어가고 있어 북한의 고민도 나름 클 것으로 예상된다.

남측이 한미동맹 우선 정책에서 탈피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남측 정부에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열 수 있는 파격적 조치를 하지 않는 이상 섣불리 대화에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남측 정부의 경우 국민의 세금을 들인 연락사무소의 폭파를 마냥 없던 일처럼 당장 북한에 대화의 손을 내밀기는 어려워 북한의 선제적이고 유연한 행동이 필요한 상황이다.

결국 외교·안보 진용 교체를 통한 대북메시지 발신에도 꽉 막힌 남북관계의 물꼬가 열리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chsy@yna.co.kr

Let's block ads! (Why?)




July 03, 2020 at 07:58PM
https://ift.tt/2AplHWq

20년 전 6·15정상회담 주역 '전면에'…북한, 어떻게 대응할까 - 연합뉴스

https://ift.tt/2AVtMC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