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가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 세계 최강국인 미국은 코로나의 본토 침공에 속수무책이다. 월드오미터 기준으로 7월 15일(현지시간) 미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하루 7만 명을 넘어섰고, 하루동안 1000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다.(997명) 뿐만 아니다. 자본주의의 성지인 미국 뿐 아니라 자본주의 탄생지인 유럽에서도 영국, 프랑스 등 주요 국가들 역시 맥을 못 추고 있다. 무섭게 경제가 성장중인 중국, 인도, 브라질은 말할 것도 없는 상황이다.
여기, 우리가 외면해 온 작은 나라가 있다. '저개발국'이라 치부되던, 세계 자본주의 시스템의 바깥에 있는 세계, 쿠바에도 코로나19는 찾아왔다. 그러나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2020년 7월 3일까지 쿠바의 누적 확진자는 2400명 이하이고, 총 사망자는 86명이다. 사망률도 WHO의 평균보다 낮은 3.6%이다. 쿠바는 어떻게 코로나를 극복하고 있을까. <프레시안>은 현재 쿠바 아바나 의과대학교에 재학중인 김해완 씨가 본 '쿠바의 의료 체계'와 관련된 글을 연재한다. 편집자
'쿠바와 코로나19' 연재 보기
②쿠바에는 코로나 자가진단 '인간 앱'이 동네마다 있다?
③쿠바의 코로나 방역 '사회적 거리 0m'의 쾌거..."이웃간 볼키스를 멈추세요"
앞서 연재를 읽으신 분들은 쿠바의 상황이 괜찮다고 생각할 것이다. 현 시점에서 가장 큰 문제인 코로나바이러스를 통제하는데 거의 성공했으니 말이다. 이것은 반만 맞는 말이다. 쿠바가 역병을 통제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쿠바의 상황이 괜찮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쿠바는 방역을 위해 스스로를 고립시켰지만, 안전에는 대가가 있었다. 바로 식량난이다.
사실 쿠바의 식량 문제는 진정한 의미에서 한 번도 해결된 적이 없었다. 이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먼저 식민지가 되었고 또 가장 오래 식민지로 남아야했던 이 섬의 역사가 남긴 카르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쿠바에 도착했을 때 이곳에는 감자의 친척뻘인 유까(Yuca)와 말랑가(Malanga)를 주식으로 삼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다. 콜럼버스를 뒤따라온 스페인인들은 원주민들을 학살했고, 섬의 생태계와 오랫동안 공생했던 그들의 식습관도 말살되었다. 텅 비어버린 섬에는 동남아시아에서 먼 길 건너온 사탕수수가 대신 심어졌다. 금을 대체해서 이윤을 창출할 식민지 상품으로 설탕이 낙점된 것이다. 그 후 쿠바는 약 400년 동안 스페인의 설탕농장으로 기능했다. 쿠바의 번영은 대부분 설탕이 벌어다준 돈으로 이루어졌다.
19세기 말까지 왜곡된 경제구조가 계속되었으니, 스페인으로부터 늦은 독립을 쟁취한 후에도 경제구조가 쉽게 복원되었을 리가 없다. 1959년 쿠바 혁명은 자급자족을 목표로 농업 개혁을 실행했지만, 그때 소련이라는 동구권 시장이 쿠바산 설탕을 후한 값으로 구매해주지 않았더라면 쿠바는 사회주의 정책을 실현할 최소한의 식량조차 확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 중요한 시장이 90년대 초에 사라졌을 때 쿠바는 혹독한 식량난을 겪었다. 이때의 10년은 훗날 ‘특별시기(período especial)’라고 불린다.
그리고 2020년이다. 쿠바인들은 식량난을 또 다시 맞닥뜨리고 있다. 이들은 담담한 태도로 코로나라는 재난에 대처하는 중이다. 이 경이로운 인내심은 극한의 시기를 한 번 통과해봤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지도 모른다. 쿠바인들의 식탁이 넉넉한 적은 한 번도 없었지만, 또 지금처럼 상황이 어려웠던 적은 특별시기 외에는 생각할 수 없다.
전국적인 봉쇄가 실행되던 올해 3월, 아바나에서는 식량배급소인 보데가(bodega)에서 쌀이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이것은 식량 위기의 신호탄과 같았다. 곧이어 배급표 없이는 쌀을 구입할 수 없다는 뉴스가 나왔다. 돈 있는 사람들이 쌀을 사재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5월 즈음에는 쿠바에서 가장 흔한 식량이라는 설탕조차 보데가에서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다른 동네를 방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설탕의 생산량 자체가 줄어든 건지, 아니면 유통망에 문제가 생긴 건지는 알 수 없었다. 필자가 살던 동네보다 부유한 동네에는 아직 쌀과 설탕이 있다는 이야기를 전해들었지만, 가난한 동네의 사정은 이보다 더 심각해서 그쪽 주민들이 우리 동네까지 걸어와서 시장을 보곤 했다.
보데가 뿐만 아니라 마켓의 풍경도 바뀌었다. 물자의 종류는 코로나 이전보다 오히려 더 다양해졌다. 재난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가 물건을 더 푼 것 같다. 그러나 물품 당 두 개까지만 살 수 있다는 개수제한이 생겼다. 이 역시 사재기를 막기 위한 조치다. 무엇보다도 물건들을 사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하게 긴 줄에서 기다려야 한다. 이 줄은 최소 두 시간, 평균 다섯 시간 정도 이어진다. 그렇게 오랫동안 기다려서 살 수 있는 것은 냉동된 소세지, 다진 고기, 음료수 정도다. 버터나 우유는 들어오자마자 팔려나간다. 냉동 닭이 들어오는 날이면 줄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새벽 4시에 줄을 서는 사람은 물론이요, 그 전날 밤 9시부터 돗자리를 들고 가게 문 앞에 자리를 차지하는 사람도 있다.
마켓에서 찾을 수 없는 품목들은 블랙마켓에 돌아다닌다. 닭고기와 돼지고기가 가장 인기가 많고, 아예 야채와 과일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도 생겼다. 이런 불법 식품을 구매하면 평소보다 세네 배는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할 것을 각오해야 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없어서 못 살 때가 많다.
봉쇄가 길어질수록 피로도 쌓인다. 그럼에도 쿠바인들은 이 답답한 시간을 차분히 견디는 중이다. 그 증거로 쿠바에는 아직까지 폭동이 없다. 굶어죽었다는 사람도 없다. 사실 식량을 구하기가 이토록 어려운 까닭은, 얼마 없는 식량이라도 최대한 균등하게 사람들에게 분배하기 위해서다. 그 덕분일까, 아직은 농담이 통한다. 뙤약볕에서 계속 줄을 서다가는 코로나가 아니라 일사병 때문에 죽을지도 모른다고 말하면 사람들이 킥킥댄다. 마음의 여유가 남아있다는 뜻이다.
특별시기와 코로나시기 사이에는 차이점도 있다. 그때는 쿠바만의 위기였지만, 지금은 전 세계가 동일한 위기를 맞이했다는 것이다. 그때는 쿠바가 사회주의 경제 정책의 실패를 증명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존재했다. 이번에는 비판이 통하지 않는다. 쿠바는 지금 지구상에서 최악의 장소가 아니다. 쿠바의 가족이 다섯 시간 동안 줄을 서야만 저녁 식사를 할 수 있다고 해도, 마켓에 가도 물건 살 돈이 없는 멕시코 실업자의 가족만큼 굶주리지는 않는다. 코로나가 퍼지는 자리에 실업과 굶주림도 함께 퍼지고 있다. 수많은 나라들이 경제 봉쇄를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생존할 가능성이라도 남겨주지만, 음식이 사라진 자리에는 굶주림과 죽음만이 기다리고 있다. 식량위기는 지금 전 세계의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유엔(UN)은 올해가 50년 만에 찾아온 최악의 식량 위기의 해가 될 것이라고 선포했다. 그런데 이 위기는 식량의 생산량과 상관없다. 2020년은 전체적으로 풍년이다. 경제 잡지 힌두비즈니스라인은 인도의 쌀, 밀, 콩 생산량이 작년보다 1~4% 더 늘었다고 5월에 발표했고, 전세계농산물수급전망보고서(WASDE)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년에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최근 30년 기록의 최고치를 갱신한다. 중국은 7월부터 시작된 기록적인 폭우로 농작물 피해를 입었지만, 그럼에도 신화뉴스는 작년보다 에이커 당 수확량이 늘었다는 뉴스를 7월 15일에 발표했다. 이처럼 고약한 농담이 또 있을까? 먹을 게 많은데 먹지를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는 ‘수요와 공급’이라는 논리 너머에 있다. 분배와 직결된다. 2021년 식량 정상 회담의 특사로 지정된 유엔 사무총장 아그네스 칼리바타(Agnes Kalibata)는 현재 코로나발 위기로 가장 불안해진 지역으로 카리브해와 남아메리카를 손꼽는다. 이유인즉 상품의 원활한 유통을 보장하는 경제 활동이 봉쇄되었기 때문이다. 농부는 작물을 팔 시장에 접근할 수 없고, 노동자는 실업 때문에 식량을 살 돈이 없다. 쿠바처럼 관광업이 수입의 대부분인 섬 국가들은 외화가 바닥나고 있다.
식량 분배를 방해하는 것은 무너진 경제뿐만 아니다. FSIN(Food Security Information Network)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라틴아메리카보다 4배 더 많은 인구가 식량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이는 갑작스럽게 닥친 가뭄과 해충의 탓으로,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후변화에는 이산화탄소의 대부분을 배출하는 선진국에 책임이 있지만, 그 결과로 피해를 입는 것은 특정 지역이며 그곳의 사회적 약자들이다. 풍년의 해조차도 풍작의 기쁨은 불균등하게 찾아온다.
지금 세계는 세포보다도 작은 RNA 바이러스 COVID-19를 찾아내려고 혈안이 되어 있다. 이 초경량의 적을 물리치기 위해서 격리를 실행하고, 검진키트를 확보하며, 확진자의 동선을 공유한다. 그러나 시선을 뒤집어보자. 위기의 근본은 정말 바이러스인가? 오히려 세계의 사각지대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온 만성적인 문제들이 바이러스를 통해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현재 바이러스보다 더 치명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것은 굶주림이다.
우리는 코로나 이후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굶주림은 코로나 이전부터 모든 인간 사회에서 만연했던 ‘병’이다. 매년 9백만 명의 사람들이 아사하고, 그로부터 생존한 사람들조차 영양실조 탓에 면역계가 허약해지면서 다른 질병에 노출된다. 굶주림이라는 병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PCR 테스트처럼 복잡한 절차가 필요 없다. 필요한 것은 질문이다. 어째서 인류는 전 인류를 먹여 살릴 수 있을 만큼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도, 이 기본적인 병을 치유하지 못하는가? 기술의 문제는 결코 아니다.
굶주림은 고립의 또 다른 표현이다. 인체는 바이러스를 견디는 최후의 수단으로 면역계를 갖추고 있다. 그렇지만 고립 앞에서는 어떤 생명체도 살아갈 재간이 없다. 서로가 먹고 또 먹히며 생명을 이어가는 자연의 이치는 만물이 연결되어 있다는 증거다. 인간은 기후 없이, 땅 없이, 곡물 없이, 농부 없이, 사회 없이 먹고 살 수 없다. 고립 속에서도 연대를 구축하는 쿠바 의학으로부터 나는 많은 것을 배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쿠바 의료가 완벽하다고 말할 수가 없다. 먹거리는 건강한 삶을 위한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쿠바는 이 삶의 기본을 튼튼하게 보호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쿠바뿐만 아니라 세계의 많은 곳에서도 이 토대가 무너져 있다.
자유 시장 경제의 법칙으로 생명의 기본을 지킬 수 없다면 또 다른 질서가 필요할 것이다. 이 어려운 시기에 물리적인 고립을 넘어 식량의 연대가, 나아가 생명의 연대가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
August 16, 2020 at 10:13AM
https://ift.tt/2Y7SGaB
코로나 방역에 성공한 쿠바, 굶주림은 어떻게 방역할 것인가 - 프레시안
https://ift.tt/2AVtMC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