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속되면서 교육 환경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원격 수업이 장기화로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는 학부모들의 원성도 높습니다. 확진자 추이에 맞춰 대면과 비대면 수업이 병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 현장은 코로나19 시대에 걸맞는 환경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에 뉴스핌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교육과 정보통신과학(ICT) 분야의 정책 방향을 제언하는 전문가 칼럼을 5회에 걸쳐 게재합니다.
류완영 한양대 명예교수 |
'지식백과' 사전에 의하면 뉴 노멀(new normal)이라는 용어는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또는 표준'을 뜻하는 말이라고 정의돼 있다. 최근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때문에 사람간의 접촉을 피하려는 언택트(언컨택트(uncontact)의 약자)가 강조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쓰기, 재택근무와 같이 과거에는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 모습들이 새롭게 정상적인 것처럼 우리의 삶에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코로나19가 뉴 노멀을 촉진시키고 , 뉴 노멀의 개념을 돌이켜 생각하게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교육의 분야에서도 언택트가 강조되면서 학생들이 모여서 공부하는 학교나 학원이 폐쇄되고,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비대면 교육, 소위 말하는 온라인 교육이 일반화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은 정보통신공학(ICT: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에 기반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를 교육에 활용하면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40여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코로나19가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현 상황에서 어떤 사람은 온라인 교육은 이제 선택이 아니고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고 말한다. 또 어떤 사람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방법론 개발로 교육혁명을 일으킬 천재일우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뉴 노멀이 되어야 할 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되어야 할까? 이 글에서는 세 가지 측면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는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수용하고, 전환된 패러다임이 우리 교육계에 정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패러다임적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교육은 실증주의에 바탕을 둔 행동주의 이론에서 해석주의에 바탕을 둔 구성주의 이론으로, 그리고 비판이론에 바탕을 둔 신 실용주의 혹은 변형학습 이론으로 옮겨왔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똑같은 모습의 교육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은 교육의 주체면에서는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 중심의 교육으로, 내용 측면에서는 절대적 진리관에서 상대적 진리관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는 교수보다는 학습을 중시하고, 지식을 담은 용기와 같은 수동적 학습자관에서, 학습자 별로 개개인의 지식을 스스로 구축하고 체계화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관으로 바뀌어야 함을 나타낸다. 또한 지식이나 진리는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지식을 다루고 가르치는 교육을 실제 상황이나 맥락에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실제학습(authentic learning) 혹은 수행 평가가 강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나아가 교육의 대상을 보이는 것, 측정 가능한 것, 검증 가능한 것에 한정하지 말고, 보이지 않는 것, 측정할 수 없는 것, 그리고 검증이 불가능한 것까지를 포괄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그 존재 자체를 부정할 수 없고, 측정할 수 없는 것이 더 보물이 되는 경우를 허다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교육에서의 패러다임을 불양립적 관계로 보아서는 안 되며. Gage의 주장대로 상보적·호혜적 관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Gagné의 학습의 조건에서와 같이 성취하려는 과제에 따라 학습 조건을 달리하듯이, 가르치려는 지식의 유형에 따라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적 접근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둘째는 편향된 교육에서 조화로운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사회는 과학과 공학의 사회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에는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비트, 바이트, 디지털, 네비게이션, 아이디, 패스워드 등과 같이 과학이나 공학적 용어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본다. 이는 그만큼 우리의 사고가 과학·공학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학문의 발전은 분화와 통합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특히 과학의 발전은 분화와 분석을 강조하게 된다.
이 같은 사고의 경향은 인간과 자연을 분리해서 생각하려 하고, 사람의 정신과 육체도 나누어 보려고 시도한다. 나아가 이성과 과학으로만 세상을 이해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그 결과 신화나 상상, 혹은 직관이 끼어들 소지를 아예 차단해 버린다. 이에 따라 인간의 자질을 지적, 정의적(情意的), 그리고 운동기능적 제요소들이 원만하게 균형 잡히게 하는 대신 한쪽에 치우친 기이한 형태의 능력을 갖는 인간을 양성하게 된다.
요즘과 같이 정보통신공학의 발전이나 언택트의 보편화는 학습자의 간접경험을 통한 학습을 강요하고, 이에 따라 정의교육이나 운동기능교육에 심각한 폐해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어린 학생들을 분석력과 통합력, 본능과 초자아, 이성과 감성이 조화를 이루도록 가르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나아가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탈자기중심적 사고로 전환하는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셋째는 학생 개개인을 에이전시화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 에이전시(student agency)의 개념은 학생으로 하여금 친근하지 않는 상황이나 조건에 직면할 때에 단순히 고정된 수업이나 교사로부터 지시를 받는 대신 스스로 유의미하고 책임감 있는 방향을 찾아 학습 항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에이전시 개념은 'OECD 학습 나침판 2030'에도 잘 나타나 있다(OECD, 2019).
오늘날의 사회는 다양성의 시대, 복잡성의 시대이다. 이 같은 사회에서는 구체성과 추상성, 인문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과학과 신비와 같은 상반되는 영역을 폭넓게 오가며 살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의 요구에 맞춰 교육하기란 이미 불가능하다. 개인의 요구는 스스로가 해결하되 교사는 촉진자, 코치, 혹은 뜀판(springboard)의 역할을 하는데 치중해야 한다.
학생 에이전시의 개념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생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핵심기반을 구축하는 일, 그리고 학습 항해 중에 부딪칠 난국을 헤쳐 나갈 변형적 자질들(transformative competencies)을 갖추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코로나19가 종식될 기미는 오늘 현재까지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언제쯤이나 이전의 학교 모습으로 돌아갈지 전혀 예측할 수 없다. 온라인 교육은 전반적인 학생들의 학력저하, 계층 간 학력격차의 심화, 비인간화 등 많은 문제들을 낳을 수 있다. 교육계는 이러한 문제점들과 함께 뉴 노멀들을 심각하게 논의해야 할 것이다.
◆류완영 한양대 명예교수는 1949년생으로 전북 고창고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캔자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수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교수를 거쳐 한양사이버대학교 학장,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한양대학교 중등교원 연수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사단법인 한국민디어교육협회 대표를 맡고 있다.
October 06, 2020 at 07:45AM
https://ift.tt/2GJgtrC
[포스트코로나 교육] 뉴 노멀 시대의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나 - 뉴스핌
https://ift.tt/2AVtMC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