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문서를 불과 수 초 만에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실시간 통역까지 한다. 어려운 수학 공식은 물론이고, 전문가들이 수 일 동안 개발해야 하는 컴퓨터 코딩을 불과 수 분 내에 완벽하게 처리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방대한 영상자료와 문서들을 전문 의사들보다 수백 배 빠른 속도로 읽어내고 심층 분석을 기반으로 정밀진단까지 한다. 미술가를 대신해서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작곡하는 것 역시 이제는 일상이 됐다.
학습 영역에서도 인공지능은 무서운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반복되는 문제 풀이 과정에서 개별 학생들의 취약점을 찾고, 해당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를 순식간에 찾아낸다. 기존 선생님과 달리 인공지능은 개인화된 마이크로 러닝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 만들어내는 미래 세상은 예측하기조차 힘들다. 이런 미래 변화를 고려해 볼 때 현재 우리의 교육 체계는 과연 얼마나 효과적일까?
가장 먼저 걱정되는 점은 교육 기간이다. 나날이 발전하는 인공지능 앞에서 초등 6년, 중등 6년, 대학 4년으로 구성된 16년이라는 교육 시간이 과연 필요할까? 여기에 석사 2년과 박사 5년을 더하면 무려 23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의 교육 체계는 과연 실질적 가치를 창조하고 있을까?
취업준비생들의 기대와 달리, 최근 외국 기업의 임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서는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해당 임원들은 직장 생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의 70%는 취직 이후의 현장 경험이며, 20%는 선배들의 멘토링을 통한 학습이며, 나머지 10%만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경제를 주도하는 아마존,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넷플릭스 같은 기업들 역시 4년제 대학 체제와 기존의 학제적 전공제도가 있었기 때문에 탄생한 것은 아니다. 구글을 비롯해서 최첨단을 달리는 기업들은 이미 직원 선발에서 출신 대학과 전공을 고려하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회사는 지원자들이 무엇을 배웠는가보다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를 훨씬 중요하게 평가한다.
현재 교육부는 기존의 교육 체계를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에 접목하는 방안으로 학습자, 교수자 측면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으로 고민해야 하는 일은 차원이 다르다. 현재 학습 체계의 실질적 가치가 빠르게 사라지는 인공지능 시대에 교육의 본원적 역할이 어떻게 달라져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인공지능을 교육에 적용하면 동일한 시간을 교육해도 학습 효과가 현재보다 수 배 증가한다.
학습 효율성이 혁신적으로 증가하면 학습 기간을 비례해서 단축해야 한다.현재 교육 체계에서 2년만 단축시켜도 교육에 필요한 국가 예산은 물론이고, 자녀 양육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개인들이 사회로 진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소비를 앞당기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기존 체제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제는 제발 무엇이라도 바꿔야 하는 시점이다.
[박남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June 28, 2020 at 10:07PM
https://ift.tt/2BkT4tX
[매경시평] AI시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오피니언 - 매일경제
https://ift.tt/2AVtMCe
No comments:
Post a Comment